27일부터 5일간 파라과이·콜롬비아·가이아나 방문, 협력방안 논의 –
외교부, 국토부로 구성된 합동농업협력사절단(단장 권택윤 농촌진흥청 기술협력실장, 이하 대표단이라 한다) 국토교통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토지정보공사(LX), 한국부동산공사가 2월 27일부터 5일간 진행하여 중남미 3개국(파라과이, 콜롬비아, 가이아나)을 방문하였다. 토지정보 및 농업분야 협력 가능성 논의
이번 협력사절단은 2030 부산세계엑스포 초청단의 일원으로 세계엑스포기구 회원국인 중남미 3개국에 파견됐다. 협력사절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먼저, 지난 2월 27일부터 이틀간 파라과이를 방문한 대표단은 파라과이 농업연구원장, 산림청장, 토지등기소장 등 주요 인사들과 간담회를 갖고 부문별 실질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리고 외무차관.
회의에서 농업연구소(IPTA)의 Edgar Esteche 원장은 대표단의 방문에 대한 Mario Adbo 파라과이 대통령의 특별한 관심과 감사를 전했습니다. 양측은 한국해외농업개발사업(KOPIA) 참깨 보급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민관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ㅇ 글로리아 파드레스 지적청장과 아리엘 심브론 파라과리 시장은 토지정보 관리 및 토지관리 시스템 효율화를 위한 공간정보 및 토지관리 파트너십 구축에 큰 관심을 보였다.
크리스티나 고라레프스키(Christina Goralewski) 산림청장은 한국 산림기업의 파라과이 진출 거점 구축과 함께 한-파라과이 산림협력(상업목 시범조림) 성과를 치하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되었던 양국간 산림협력위원회가 재개되어 향후 상호종자교류 및 관련 산림협력이 확대되기를 기대하였다.
한편 대표단은 라울 실베로 국무차관을 만나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비전을 공유하고 파라과이의 지원을 요청했다.
대표단은 2월 28일 오전 9시 30분부터 2시간 동안 「한-파라과이 농림토지 협력포럼」을 개최하여 양국간 농림토지정책 및 한-파라과이 실질협력 강화 방안을 소개하였다. 논의하기 위해 . 또한 국내 기업의 진출과 민관 협력 확대를 위한 전략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대표단은 3월 1일부터 이틀간 콜롬비아를 방문했다.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은 지난 8월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박덕흠 특사에게 지적제도에 대한 양국의 협력을 희망했고 대표단의 콜롬비아 방문은 후속 조치였다.
첫째 날인 3월 1일에는 콜롬비아 외교부와 함께 개막식을 가졌다. 한국 대표단의 행동계획은 큰 관심을 끌었으며 세실리아 로페즈 몬타뇨 콜롬비아 농업농촌개발부 장관, 후안 카스트로 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 국장, 외교부·환경부 장관 등 관계부처의 환영을 받았다. IGAC.
몬타뇨 장관은 콜롬비아의 온전한 평화를 위한 소득분배를 통한 농지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번 대표단의 방문이 이 분야에서 양국간 실질적인 협력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했다.
콜롬비아 방문 이틀째인 3월 2일 대표단은 한국의 농지개혁 사례를 공유하고 농지개혁의 기반이 되는 다목적 지적사업을 논의하기 위해 「한-콜롬비아 농림토지 협력포럼」을 개최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저탄소 농업기술, 유전자원 보전, 임농복합경영 등 농업·임업·농업 분야에서 양국 간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새로운 협력 의제를 발굴했다.
포럼 이후 국토교통부는 콜롬비아 국립지리원(IGAC), 국가계획청(DNP) 등 토지 관련 기관 관계자와 양국 간 협력 및 토지정보기술 발전을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라틴 아메리카의 부동산 시장을 개발하기 위해.
한편, 산림청은 콜롬비아 환경부를 방문해 실무협의를 갖고 산림보전과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등 산림분야 양자간 양해각서(MOU)를 확정했다.
대표단은 마지막 날인 3월 3일 가이아나를 방문한다. 지난 2월 카리콤 정상회의에 참석한 방방규 정부정책조정실장은 가이아나 주도 카리콤의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농업협력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대표단의 가이아나 방문은 카리브해와의 협력에 대한 한국 정부의 관심을 표명하기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가이아나에서 대표단은 Zulfikar Mustapha 농업부 장관, 외무부, 임업위원회 및 기타 관련 부처와 만날 것입니다.
무스타파 장관과 대표단은 식량안보를 달성하고 수입 농산물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가이아나의 농업 개발에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으며 가이아나와 카리브해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농업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방법을 논의할 것입니다.
가이아나 산림청과 산림청은 양국 산림정책 및 REDD+ 현황을 공유하고 다음과 같은 상호협력 가능성을 논의할 계획이다. 나. 국제기구(GGGI 등)의 맹그로브 숲 복원.
또한 칸디다 다니엘스(Candida Daniels) 가이아나 외교부 국제협력국장은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 개최 등 양국 간 중요한 현안과 국제적 차원의 협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농협협력사절단의 중남미 3개국 방문은 농업기술, 토지관리, 지속가능성에 대한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 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신규 기업을 발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임업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중남미 고위 관계자 간담회 및 현장 협력포럼을 통해 2030 부산세계엑스포의 비전을 공유하고 한국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는 계기가 되었다.
외교부·국토부로 구성된 농업농촌협력합동정부대표단(단장: 권택윤, 농촌진흥청 기술협력실장, 이하 대표단) 국토교통부, 산림청 토지정보공사(LX), 한국부동산공사는 2월 27일부터 5일간 중남미 3개국(파라과이, 콜롬비아, 가이아나)을 방문해 토지정보 및 농업 분야 협력 기회 모색 논의하다.
대표단은 국토교통부, 외교부, 산림청, 토지정보공사(LX), 한국부동산공사 관계자로 구성됐으며 권택윤 기술협력실장을 단장으로 했다. 농촌진흥청 소속. 2030년 부산세계엑스포 초청단의 형태도 있다. 세 나라 모두 세계엑스포기구의 회원국이다.
특히 콜롬비아는 농지개혁과 관련해 한국 정부에 지속적으로 협조를 요청해왔다고 설명한다. 지난해 8월 취임한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은 당시 박덕흠 특사에게 지적제도와 함께 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세실리아 로페스 몬타뇨(Cecilia López Montaño) 콜롬비아 농업농촌개발부 장관은 공정한 소득 분배를 통한 농지 개혁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양국 간 실질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국토교통부가 밝혔다.
또한 파라과이는 공간정보와 토지관리 협력에 큰 관심을 보였고, 가이아나에서는 농업과 임업 협력이 주요 의제가 되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대표단 방한의 의미에 대해 “우리 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 지원과 신규 기업 발굴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