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숙한

오늘은 친구 김광현이 카톡으로 &&&동아&&&를 써주었다.

작은별밭과 사진첨부 정리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미소) 철에 대해 잘 몰라요

철이 없는 사람을 “철”이라고 합니다.
어린 시절은 원래 “철불지”로 쓴다.
“나는 철을 모른다”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철은 무엇인가?
사계절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은 미성숙한 사람입니다.
즉, “언제”를 모릅니다.


봄이 오면 밭을 갈고 씨를 뿌린다.
여름에는 땀을 흘리며 잡초를 뽑고,
가을에 과일을 수확하다
겨울에는 월동을 위해 창고에 보관해야 합니다.

계절을 모르는 사람은 땅이 얼어붙는 혹독한 겨울에 씨를 뿌리러 밭에 나가는 사람이다.

눈밭에 씨를 뿌리면 반드시 싹이 나지 않습니다.
가을에 추수를 해야 하는데 계절을 모르면 추수하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열매가 땅에 떨어져 썩는다.

쉽게 설명하지만
사실 수명 주기에서 철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사람마다 철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태어나자마자 인생이 가을에 시작됩니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부모님이 남기신 건물에서 임대료를 받기 시작하는 것은 과일을 따서 먹는 것과 같습니다.

젊음을 흥청거리며 보내다 보면 대개 술에 빠져든다.
패가망신(敗家亡身)이라는 혹독한 겨울의 다음 코스를 기다리고 있다.

반대로 겨울에 시작하는 사람들은 부모로부터 자장면 배달을 시작한다.
시간이 흘러 새싹이 돋아나는 봄을 맞이합니다.


문제는 우리가 인생에서 어느 계절(시간)에 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진단이 맞다면 레시피는 반드시 나올 것이다.
봄 진단이 나오면 씨를 뿌릴 수 있습니다.
여름진단이 오면 땀 흘릴 준비를 해야 한다.

철을 알면 기다릴 줄 안다.
겨울이 지나면 봄이 와야 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기다려야 한다.

철을 모르면 기다릴 수 없습니다.
철에 대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는 엄청납니다.


진단이 맞다면 인생의 절반은 이미 성공한 사람이다.

살다보니 진단이 어렵고 제대로 된 진단을 받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성숙한 사람이고,
진단을 내리는 사람은 교사입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 교사가 없다는 사실은
철분이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오늘은 좋은 날만 있을 것입니다.

**받다**